반응형
투수에게 흔한 어깨 질환인 회전근개 손상, 이두근 염증, 견갑골 기능장애에 대해 증상, 원인, 치료 방법을 스포츠 재활 관점에서 정리합니다.
⚾ 투수의 어깨, 단순히 근육만의 문제가 아니다
투수의 어깨는 반복적인 피칭 동작 속에서 구조적 손상뿐 아니라 기능적 이상도 함께 발생합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투수들이 흔히 겪는 또 다른 어깨 질환 3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 1. 회전근개 염증 및 파열 (Rotator Cuff Tendinopathy & Tear)
정의
회전근개는 어깨를 감싸는 4개의 힘줄(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말합니다.
이 부위가 염증이 생기거나, 반복된 마찰로 인해 부분 또는 완전 파열이 발생합니다.
증상
- 팔을 들어올릴 때 통증
- 야간통
- 던질 때 근력 약화 또는 팔 빠지는 느낌
원인
- 과사용(Overuse)
- 견봉하 공간 협소
- 던지는 동안의 부적절한 어깨-견갑골 협응
치료
- 초기: 안정 + 물리치료 + 회전근강화
- 중기 이상: 관절경 봉합술 또는 회복 불가 시 재건술
🩺 회복 기간
- 비수술 치료 시: 약 3~6개월
- 수술 치료 후: 약 6~12개월
✅ 2. 상완 이두근 염증 (Biceps Tendinitis)
정의
팔꿈치에서 어깨까지 연결되는 이두근 중,
어깨에 부착된 장두(Long head) 힘줄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증상
- 앞쪽 어깨 통증 (특히 팔 들 때)
- 팔을 앞으로 내밀거나 던질 때 찌릿함
- 때때로 ‘딸깍’ 소리
원인
- SLAP 병변과 동반되는 경우 많음
- 피칭 중 이두근이 반복적으로 견인되며 염증 유발
치료
- 초기: 소염제, 초음파 치료
- 만성: 이두근 봉합술 or 절단술 (Tenodesis/Tenotomy)
✅ 3. 견갑골 기능장애 (Scapular Dyskinesis)
정의
견갑골은 어깨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조절하는 구조물입니다.
이 움직임이 비정상적으로 흐트러지거나 비대칭이 생기면,
어깨 전체에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증상
- 팔 들거나 던질 때 어깨 불편감
- 견갑골이 튀어나오거나 비정상 움직임
- 힘이 빠지는 느낌, 정확도 저하
원인
- 견갑골 안정화 근육 약화 (전거근, 능형근 등)
- 자세 불균형
- 회전근개와 협응 이상
치료
- 견갑골 안정화 운동 (스크랩션, Y-T-W 운동 등)
- 자세 재교육, 등 근육 활성화
💡 한 줄 요약
“이두근, 회전근개, 견갑골은 따로가 아닌 ‘셋이 하나처럼 움직여야’ 진짜 투수 어깨가 완성됩니다.”
✅ 다음 예고
③편 – 어깨 불안정성(Instability), 탈구, 후방 슬랩까지
④편 – 피칭 복귀 전 Throwing Program 구성법
반응형
'부상 (어깨, 팔꿈치, 허리, 고관절, 무릎, 발목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UCL 손상(UCL Tear) (0) | 2025.05.17 |
---|---|
Hill-Sachs 병변: 탈구 이후 어깨뼈에 남는 흔적 (0) | 2025.05.17 |
Bankart 병변과 Reverse Bankart, 탈구 이후 나타나는 병리학적 손상 (0) | 2025.05.17 |
어깨 불안정성, 탈구, 후방 SLAP 병변 완전 정리 (0) | 2025.05.16 |
충돌증후군, SLAP 병변, Bennett 병변 총정리 (2)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