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규칙 및 지식

포수는 언제 타자를 방해하는 걸까? 캐처 인터페어런스 정리

Training coach choi 2025. 5. 21. 10:00
반응형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간혹 심판이 **“타자에게 1루가 주어졌습니다”**라고 선언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하지만 타자가 공을 맞은 것도 아니고, 스트라이크존을 빠져나간 것도 아니죠.
이때 적용되는 규칙이 바로 “포수 방해(Catcher’s Interference)”, 즉 캐처 인터페어런스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포수 방해가 무엇인지, 어떨 때 선언되는지,
그리고 어떤 판정과 기록 처리로 이어지는지 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캐처 인터페어런스가 일어나는 모습을 나타낸 일러스트입니다."


⚾ 캐처 인터페어런스란?

**캐처 인터페어런스(Catcher’s Interference)**는
타자가 스윙 또는 타격 동작을 취하는 중, 포수가 방해했을 경우 선언되는 반칙입니다.

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포수가 너무 앞으로 나와 있다가 타자의 배트에 포수 미트가 맞는 경우
  • 타자의 스윙을 미리 방해하는 신체 접촉, 방망이 접촉

💡 간단히 말해, “포수가 타격 동작을 방해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판정 조건 요약

조건설명
타자의 스윙 or 타격 도중 정상적인 타격 동작 중이어야 함
포수가 방망이나 타자와 접촉 주로 미트에 방망이 닿음
심판이 방해로 간주 고의·비고의 상관없이 방해 인정
 

심판의 판단으로 포수 방해가 선언되면, 타자는 자동으로 1루에 출루합니다.


✅ 실전 예시

예시 ①

  • 포수가 앞쪽으로 나와 미트를 내밀고 있다가
  • 타자의 배트가 미트와 접촉
    캐처 인터페어런스 선언 → 타자 1루 출루

예시 ②

  • 주자 1루에 있는 상황
  • 캐처 인터페어런스 발생 시 → 타자 1루, 기존 주자도 1루씩 진루

✅ 캐처 인터페어런스 판정 시 결과

  • 타자: 자동 1루 출루
  • 주자: 이미 출루 중이었다면 한 루씩 진루
  • 타격 결과가 좋을 경우?공격팀이 결과를 선택할 수 있음!

예:

  • 포수 방해 선언됐지만 타자가 2루타를 침 → 팀이 2루타 인정 선택 가능

✅ 기록상 처리

  • 포수에게는 수비 실책(E2) 기록
  • 타자는 출루 처리 (OBP에 포함)
  • 타율에는 영향 없음
  • 투수에게는 아웃 미기록

✅ 자주 나오는 오해

오해실제
포수가 타자와 접촉하면 무조건 방해 ❌ 타자가 먼저 움직이거나 고의일 경우 무효
포수가 배트에 맞으면 공 데드볼 ❌ 아니고, 포수 방해로 인정되면 타자 출루
캐처 인터페어런스는 안타보다 좋다 ❌ 상황 따라 공격팀이 선택
방해 후 스윙이 헛스윙이면 무효 ❌ 방해는 이미 성립됨
 

✅ 드물지만 발생하는 특수 상황

🟡 더블 캐처 인터페어런스

  • 주자가 홈으로 들어오려 할 때
  • 포수가 타자에게 방해하고, 또 주자에게도 방해했다면
    모든 주자 진루 인정 + 타자 출루

🟡 스트라이크·볼 카운트 유지 상황

  • 방해가 선언되지 않고 경기 계속되었을 경우
    공격팀이 결과 선택

✅ 캐처 인터페어런스 예방법

  • 포수는 타자의 스윙 궤적을 파악하고, 뒤로 물러서서 포구할 것
  • 투수와의 사전 미팅으로 공격적인 타자 대비 거리 확보

✅ 한 줄 요약

“타자의 스윙을 방해한 포수는 반칙입니다. 고의가 아니어도 ‘미트 맞음’은 출루 사유가 된다!”


✅ 다음 편 예고

“야구 교과서 시리즈⑯ – 병살타를 쳤는데 점수는 났다고? 점수 인정의 조건”
병살로 이닝이 끝났는데 점수가 올라간다?
득점 인정의 조건과 ‘포스 아웃 전 득점’, ‘태그 아웃과의 차이’를 다음 편에서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