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LAP 수술 후 재활 시리즈③
11~16주차: 근력 강화 및 기능 회복 훈련
“움직임의 안정화에서 기능의 복귀로 – SLAP 재활의 두 번째 전환점”
✅ 개요: ‘움직이는 어깨’에서 ‘기능하는 어깨’로
SLAP 봉합술 이후의 11~16주차는 움직임의 안정화 단계를 넘어,
실생활과 스포츠 동작을 위한 **기능 회복(functional recovery)**의 준비 시기입니다.
이전까지 제한되었던 가동 범위는 대부분 회복되었고,
이제는 다음을 목표로 하는 고도화된 훈련이 필요합니다:
- 회전근개 및 견갑 안정 근육의 저항성 근력 강화
- 어깨 관절의 정적/동적 안정성 향상
-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on)**의 확장
- 운동 패턴 재학습과 기능적 움직임 회복
⚠️ 주의: 상완이두근 장두건(biceps long head tendon)은 아직 과부하 금지!
투구, 던지기, 하이 임팩트 스포츠 동작은 이 시기에도 금물입니다.
✅ 재활 목표 (11~16주차)
11~12주 | 가동성 완성, 저강도 저항운동 시작 |
13~14주 | 근력 강화, 안정성 & 협응 향상 |
15~16주 | 기능적 과제 중심 훈련, 고유감각 통합 |
✅ 1. 가동 범위 (ROM) 최종 확보
통증 없는 완전 능동 가동 범위(Full AROM) 확보가 이 시기의 기본 과제입니다.
굴곡 (Flexion) | 160~170° 이상 |
외회전 @ 0° | 70° 이상 |
외회전 @ 90° | 80~90° (통증 없이) |
내회전 (IR) | 손이 견갑골 중간 이상 도달 |
운동 예시
- Wall-assisted shoulder flexion
- Wand ER @ 90° ABD
- Sleeper stretch (가동성 향상)
- Cross-body adduction stretch
✅ 2. 저항성 근력 강화 단계 (Progressive Resistance)
이제는 가벼운 덤벨, 밴드, 튜빙 등을 활용한 저항성 운동이 가능해지며,
근육의 힘과 지구력을 동시에 높이는 트레이닝이 중심이 됩니다.
회전근개 (Rotator cuff) | Sidelying ER, Standing IR/ER w/ band, Full can raise |
견갑 안정화 | Wall Push-up Plus, Prone T/Y/L, Scapular retraction w/ tubing |
전거근, 하부 승모 | Serratus wall slide, Dynamic hug, Low row |
운동 강도:
- 2
3세트, 1215회 반복 - 덤벨 무게 0.5~1.5kg, 저강도 밴드로 시작
- 통증, 피로, 불안정성 없는 범위 내 수행
✅ 3. 고유수용감각 & 신경근 조절 훈련 강화
어깨의 위치감각, 반응성, 신경-근육의 타이밍을 향상시키는 훈련이 이 시점에서 중요해집니다.
이는 던지기, 리치 동작 등 스포츠 복귀 시 재손상을 예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폐쇄사슬 안정화 | Ball-on-wall stability w/ circles |
눈 감고 리듬 안정화 | Eyes-closed rhythmic stabilization |
동적 불안정 표면 | BOSU or Airex에서 Wall Push-up Plus |
진동 자극 | Bodyblade diagonal oscillation, perturbation drills |
TIP: 진행 속도보다 정확한 자세와 반응 능력 유지가 우선입니다.
✅ 4. 기능적 움직임 패턴 회복
기본 근력과 협응이 회복되었다면, 일상 및 스포츠 움직임을 모사한 기능적 훈련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예시 동작:
- Medicine ball chest pass (2kg 미만)
- Resistance tubing rowing
- Overhead reach & control (비저항 상태)
- 가벼운 Plyometric wall taps (단, 투구는 아직 금지)
⚠️ 던지기나 과도한 overhead activity는 아직 금지입니다.
✅ 5. 이두근 부하 회복 – 부분 허용
15주차 이후 통증 및 압통이 전혀 없고, 회복 상태가 양호하다면
상완이두근 장두건에 대한 간접 자극을 제한적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초기 | Supination w/ no weight, isometric biceps hold |
점진 | Light biceps curl (0.5kg 미만), no elbow extension overload |
⚠️ 완전한 이두근 강화는 17주차 이후로 연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회복 점검 체크리스트
Flexion AROM | 160° 이상 |
ER @ 90° | 80~90° |
통증 | VAS 0~2 이내 |
이두건 압통 | 없음 |
견갑 움직임 | 대칭성 확보 |
고유감각 반응 | 불안정 없음, 반사적 반응 우수 |
✅ 일상 기능 복귀 가능 범위
✅ 셔츠 입기, 머리 감기, 식사, 책상 작업
✅ 계단 오르기, 가벼운 장보기
✅ 컴퓨터, 독서, 필기
✅ 가벼운 스트레칭 & 재활 운동
❌ 웨이트 트레이닝
❌ 스포츠 활동, 야외 캐치볼
❌ 무거운 물건 운반 (3kg 이상)
❌ 갑작스러운 팔 동작 (던지기, 리치)
✅ 주의사항
❌ 갑작스러운 팔 올리기/비틀기
❌ 이두 curl, 덤벨 supination
❌ 통증이 유발되는 저항 운동
❌ 고정된 통증, 불안정한 느낌 발생 시 즉각 중단
❌ 견갑골 움직임 비대칭 상태 방치
💡 한 줄 요약
“이제는 기능을 회복할 시간입니다. 그러나 SLAP 재활은 조심스러운 전진이어야 합니다.”
근력 강화와 감각 회복, 움직임 제어가 조화를 이루는 시기가 바로 11~16주차입니다.
✅ 다음 예고
“⑥편 – 유소년 투수에게 흔한 성장판 손상, Panner's Disease와 Little League Elbow 완전 해부”
'운동 재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LAP 수술 후 Return to Sport 프로그램: 스포츠 복귀 이후 관리 전략 (0) | 2025.05.21 |
---|---|
SLAP 수술 17~24주차: 스포츠 복귀를 위한 최종 조율 (0) | 2025.05.20 |
“SLAP 수술 6~10주차: 능동적 움직임과 근력 회복의 시작” (4) | 2025.05.17 |
“SLAP 수술 0~5주차: 관절와순 회복을 위한 초기 안정화 전략” (4) | 2025.05.17 |
“Bankart 수술 17주차 이후: 투구 복귀를 위한 Throwing Program 가이드” (0)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