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이런 장면이 종종 등장하죠.
타자가 번트를 시도했는데 공이 파울로 굴러갔고,
🙅 심판이 갑자기 “삼진 아웃!”을 선언합니다.
😮 “파울인데 왜 아웃이지?”
😵 “방금 2스트라이크 아니었어?”
바로 이때 적용되는 규칙이
🧠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 파울은 삼진 아웃” 규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규칙이 왜 존재하는지, 어떤 전략적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번트(Bunt)란?
🟡 번트(Bunt) = 타자가 배트를 휘두르지 않고
살짝 들이대듯이 공을 맞춰 굴리는 기술입니다.
🎯 주요 목적:
- 희생번트로 주자 진루
- 기습번트로 내야 허 찔러 출루
- 스퀴즈 번트로 3루 주자 득점 유도
🚨 왜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 파울은 아웃일까?
일반 타격은 파울을 쳐도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2개 이상일 경우 아웃이 아니지만,
✋ 번트만은 예외입니다.
🔽 공식 규정 요약:
"타자가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를 시도했고,
그 타구가 파울일 경우, 타자는 삼진 아웃으로 처리한다."
🤔 이유는?
🔍 왜 번트만 예외로 삼았을까요?
✅ 번트는 컨택보다 의도에 의한 플레이
✅ 무한 반복 가능한 지연 작전 방지
✅ 투수 보호 및 공정한 경기 유지
✅ 공격 측의 시간 끌기 방지
⚖️ 따라서 이 룰은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성 장치’**입니다.
🔍 실전 예시로 이해하기
🎯 예시 ①
🧢 상황: 2S-0B, 타자가 번트 시도 → 공 파울
📢 결과: 삼진 아웃!
🎯 예시 ②
🧢 상황: 2S-1B, 정상적인 스윙 → 파울
📢 결과: 스트라이크 아님! 계속 타격 가능
🎯 예시 ③
🧢 상황: 1S-0B, 번트 파울
📢 결과: 스트라이크 1개 추가
📌 번트 전략, 이렇게 써야 한다!
무사 1루 | 희생번트로 주자 진루 | 수비 빠르면 병살 가능 |
1사 3루 | 스퀴즈 번트 시도 | 실패 시 주자 아웃 |
2스트라이크 | ❌ 번트 자제 필요 | 실패 시 삼진 위험 큼 |
빠른 투수 | 기습번트 유효 | 컨택 정확도 필요 |
🧠 자주 나오는 오해
2S 이후 모든 파울은 아웃 | → 번트일 경우만 해당 |
번트도 안전한 타격 방법 | → 고난이도 기술, 실패 시 아웃 위험 큼 |
파울은 무조건 무효 | → 2 스트라이크 이후 처리 되는 번트만 예외 |
번트 실패해도 계속 기회 있음 | → ❌ 2S 이후 번트 파울은 삼진 |
📋 규칙 요약 카드
✅ 번트 파울 = 스트라이크
✅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 파울 = 삼진 아웃
✅ 정상적인 스윙 파울 = 스트라이크 아님
✅ 파울만 쳐도 계속 기회 유지? → 번트는 ❌
🧵 한 줄 요약
📢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 파울은 삼진이다.
공정한 경기 흐름을 위한 특별한 예외 규칙이다!”
🔜 다음 편 예고
🟢 “안전진루권이 뭐야? 주자가 공 없이도 루를 얻는 이유”
공이 선수에게 맞거나, 펜스를 넘어가거나, 방해가 발생하면
주자는 자동으로 다음 루를 얻을 수 있어요!
🏃♂️ 그 다양한 안전진루권(Safe Advancement) 상황을 다음 편에서 알아봅니다!
'야구 규칙 및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투수는 언제 교체할 수 있을까? - 마운드 방문, 교체 타이밍, 그리고 3타자 룰까지! (4) | 2025.05.28 |
---|---|
🛡️ 안전진루권이 뭐야? - 주자가 공 없이도 루를 얻는 이유와 모든 상황 정리 (6) | 2025.05.27 |
파울팁도 스트라이크라고? 스윙 같지만 공은 뒤로 간 상황의 모든 것 (2) | 2025.05.22 |
병살타를 쳤는데 점수는 났다고? 점수 인정의 조건 (0) | 2025.05.22 |
포수는 언제 타자를 방해하는 걸까? 캐처 인터페어런스 정리 (4)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