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규칙 및 지식

🛡️ 안전진루권이 뭐야? - 주자가 공 없이도 루를 얻는 이유와 모든 상황 정리

Training coach choi 2025. 5. 27. 12:00
반응형

야구를 보다 보면, 공이 멀리 굴러가거나 심판이 팔을 들며
“⚠️ 주자 진루!”를 선언하는 장면을 본 적 있으실 거예요.

“어? 공이 멈췄는데 왜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가지?”
“수비가 막지도 않았는데 자동으로 진루하는 건 뭐야?”

이럴 때 적용되는 규칙이 바로 **안전진루권(Safe Advancement Rule)**입니다.
오늘은 이 규칙이 무엇인지, 언제 적용되는지,
그리고 실전에서 어떤 사례들이 있는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안전 진루권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진루권(Safe Advancement)이란?

수비의 실수나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
💨 주자가 별다른 접촉 없이도 자동으로 다음 루로 진루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칙입니다.

📝 영어로는 "Base Award" 또는 "Automatic Advancement"라고 하며,
KBO 및 MLB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대표적인 안전진루 상황 5가지


① 공이 경기장 밖으로 나감 (예: 오버펜스, 관중석 진입)

🟢 2루 이상 자동 진루

📌 예시:

  • 외야수가 송구한 공이 관중석이나 펜스를 넘어감
  • 수비수의 송구가 불규칙 튕김 후 더그아웃 진입

💡 심판은 해당 상황을 보고 모든 주자에게 1루 또는 2루씩 자동 부여


② 보크(Balk) 발생 시

🟢 주자 전원 1루씩 진루

📌 투수가 세트 자세에서 멈췄다거나,
투구 도중 갑작스런 동작을 멈춘 경우 → 보크 선언

⚠️ 심판이 “보크!”를 외치면
→ 주자들은 공 없이도 다음 루 자동 진루


③ 투구 중 투수가 공을 놓쳐 뒤로 빠질 경우

🟢 1루 또는 2루 진루 가능 (포수 실책 포함)

📌 포수가 공을 놓쳐 백스톱 뒤로 굴러갔다면,
주자는 공격 타이밍을 놓치지 않고 진루 시도 가능
→ 상황 따라 심판이 데드볼 선언 후 자동 진루 처리 가능


④ 타자에 대한 고의4구(자동 진루)

🟢 타자는 1루 자동 진루

📌 투수가 고의 사구를 선언하거나,
볼 4개를 던지면 타자는 1루 진루 권리 자동 부여

💡 주자들이 있을 경우 → 밀어내기 점수 가능!


⑤ 타구가 심판에게 맞았을 때

🟢 타자 또는 주자에게 안전진루권 부여 or 방해 처리

📌 예시:

  • 타구가 심판에게 맞으면 → 데드볼 선언 + 주자 1루씩 진루

🔍 실전 사례로 더 알아보기


🎯 사례 ①

🏃 1루 주자 있을 때, 투수가 던진 공이 백스톱 뒤로 빠지며 덕아웃으로 들어감
→ 주자 자동 2루 진루

🎯 사례 ②

⚾ 외야쪽 타구가 그라운드를 맞고 관중석으로 튕겨 들어감
→ 모든 주자에게 2루 자동 진루 판정

🎯 사례 ③

🧤 3루수가 공을 던지다 1루 옆 익사이팅존으로 송구 실책
→ 주자 1루씩 자동 진루

"3루수의 송구실책으로 인해 타자주자를 포함한 주자들이 안전 진루권을 획득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러스트입니다."


🧠 자주 헷갈리는 오해 정리

❌ 오해✅ 실제 규칙

 

보크는 단지 주의만 받는다 주자 전원 1루씩 자동 진루
타자도 보크로 진루한다 ❌ 보크는 주자만 해당, 타자는 타석 유지
 

📋 정리 카드 – 안전진루권 요약

🔹 외야 타구 → 관중석 넘어감 = 2루 자동
🔹 보크 발생 → 주자 1루씩 진루
🔹 고의4구 → 타자 1루
🔹 포수 미트 놓침 + 데드볼 → 진루 가능
🔹 타구 심판 맞음 → 상황 따라 자동 진루


✅ 요약

  • 안전진루권은 공격 측의 부당한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한 규칙
  • 경기 중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한 보상성 진루 제도
  • 보크, 송구 실책, 타격 방해 등 상황에서 자동 진루 인정

📢 한 줄 요약:
“안전진루권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주자의 권리를 보호해주는 야구 속 안전장치다!”


🔜 다음 편 예고

“투수는 언제 교체할 수 있을까? 마운드 방문과 교체 타이밍의 모든 것”

감독이 마운드에 올라가면 바로 투수 교체?
🧢 투수 교체 시점, 조건, 3타자 룰까지 다음 편에서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