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구룰정리 20

🧮 실책과 자책점은 어떻게 다를까? - ERA 계산과 수비 책임 구분법 총정리

⚾ “투수가 5실점했는데 자책점은 2점?”🤔 “실책은 수비 잘못이고, 자책점은 투수 잘못이라던데…”야구에서 **실점(실제로 허용한 점수)**과 **자책점(투수의 책임)**은 다른 개념입니다.이번 편에서는⚠️ 실책(Error)🔢 자책점(Earned Run)📉 ERA 계산법을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실책(Error)이란?수비수가 정상적인 수비 동작을 하지 못해,주자 또는 타자가 진루하거나 실점으로 이어진 경우 기록되는 수비 책임입니다.📍 예시 상황내야수가 공을 놓쳐 주자가 1루에 살아남음송구가 빗나가 주자가 추가 진루더블플레이 실패 (포구 실수, 송구 미스 등)🔢 자책점(Earned Run)이란?투수의 책임으로 기록되는 실점을 말합니다.수비의 실수 없이 정상적인 경기 흐름에서 발생한 실점만 포..

🔥 2스트라이크 후 파울 번트는 왜 아웃일까? ⚾ 번트의 룰과 전략, 그리고 실전에서의 의미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이런 장면이 종종 등장하죠.타자가 번트를 시도했는데 공이 파울로 굴러갔고,🙅 심판이 갑자기 “삼진 아웃!”을 선언합니다.😮 “파울인데 왜 아웃이지?”😵 “방금 2스트라이크 아니었어?”바로 이때 적용되는 규칙이🧠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 파울은 삼진 아웃” 규정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규칙이 왜 존재하는지, 어떤 전략적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번트(Bunt)란?🟡 번트(Bunt) = 타자가 배트를 휘두르지 않고살짝 들이대듯이 공을 맞춰 굴리는 기술입니다.🎯 주요 목적:희생번트로 주자 진루기습번트로 내야 허 찔러 출루스퀴즈 번트로 3루 주자 득점 유도🚨 왜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 파울은 아웃일까?일반 타격은 파울을 쳐도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2개 이상일 경우 아..

포수는 언제 타자를 방해하는 걸까? 캐처 인터페어런스 정리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간혹 심판이 **“타자에게 1루가 주어졌습니다”**라고 선언하는 장면이 나옵니다.하지만 타자가 공을 맞은 것도 아니고, 스트라이크존을 빠져나간 것도 아니죠.이때 적용되는 규칙이 바로 “포수 방해(Catcher’s Interference)”, 즉 캐처 인터페어런스입니다.이번 편에서는 포수 방해가 무엇인지, 어떨 때 선언되는지,그리고 어떤 판정과 기록 처리로 이어지는지 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캐처 인터페어런스란?**캐처 인터페어런스(Catcher’s Interference)**는타자가 스윙 또는 타격 동작을 취하는 중, 포수가 방해했을 경우 선언되는 반칙입니다.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포수가 너무 앞으로 나와 있다가 타자의 배트에 포수 미트가 맞는 경우타자의..

타자가 타석을 벗어나면 어떻게 돼? 규칙 위반과 인정되지 않는 플레이들

야구 경기 중 타자가 타석에서 벗어나 있는데 투수가 공을 던졌습니다.또는 타자가 타격 후, 타석을 아예 벗어나 공을 맞췄습니다.심판은 경기를 멈추고 “반칙 타격”을 선언합니다.“어? 왜 방망이로 쳤는데 아웃이 아니지?”“타자가 공을 쳤는데 인정이 안 된다고?”이번 편에서는 타석을 벗어난 타자의 동작이 어떤 상황에서 반칙이 되는지,그리고 인정되지 않는 타격 행위에 대한 규칙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타석이란?**타석(Batter’s Box)**은 타자가 투수의 공을 기다리고, 타격을 하는 정해진 공간입니다.두 개의 직사각형 박스(좌·우 타석)가 홈 플레이트 양옆에 위치하며,타자는 자신의 타석 안에서만 합법적인 타격을 할 수 있습니다.💡 타석의 경계선은 포함입니다. 선 위에 발이 닿는 건 괜찮지만..

타구가 주자에게 맞으면 어떻게 돼? 주자 방해의 모든 것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가끔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내야 땅볼 타구가 주자의 몸에 맞는 순간, 경기 중단!심판이 손을 들어 무언가를 선언하죠.“타구에 맞았는데 왜 아웃이지?”“어떤 땐 아웃, 어떤 땐 그냥 데드볼처럼 되던데?”이번 편에서는 입문자들이 헷갈리기 쉬운“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의 판정 기준을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기본 개념: 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타자가 친 타구가 수비수를 거치지 않고 주자의 몸이나 발에 맞았다면,보통은 **‘주자 방해(Interference)’**로 간주되어 주자는 아웃입니다.하지만 모든 상황이 그렇지는 않아요.조건과 위치에 따라 세이프 처리되거나 데드볼로만 간주되기도 합니다.✅ 판정의 핵심 기준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 아래 3가지가 핵심입니다:공이 수비수를 거..

수비수가 공 없이 베이스를 밟고 있으면 주자는 아웃일까?

야구를 보다 보면, 주자가 전력질주로 1루를 향해 달리는데수비수가 먼저 베이스를 밟고 있는 장면.“어? 이미 밟았으니까 아웃 아냐?”그런데 심판은 **세이프!**를 선언합니다.수비수가 공 없이 베이스를 밟고 있는 경우, 주자는 아웃일까요?이번 편에서는 많은 입문자들이 헷갈려하는‘포스 아웃’과 ‘태그 아웃’의 차이를 중심으로,언제 베이스만 밟으면 되고, 언제는 꼭 태그해야 하는지실전 예시와 함께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아웃의 2가지 방식: 포스 아웃 vs 태그 아웃야구에서 주자를 아웃시키는 방식은 크게 2가지입니다:① 포스 아웃 (Force Out)주자가 다른 주자 때문에 반드시 다음 루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때 수비수가 공을 가지고 베이스를 먼저 밟으면 아웃② 태그 아웃 (Tag Out)주자가 포스 ..

체크 스윙이란? 반쯤 휘두른 배트도 스트라이크일까?

야구 중계를 보다가 타자가 스윙을 하려다 중간에 멈췄는데,심판은 스트라이크를 외치는 장면.혹은 **“1루심에게 체크해 주세요!”**라는 요청이 들리는 상황.“아니, 휘두르지도 않았는데 왜 스트라이크야?”이때 적용되는 것이 바로 **“체크 스윙(Check Swing)”**이라는 개념입니다.이번 편에서는 체크 스윙의 정의, 판정 기준, 심판의 역할, 실전 예시 등을 알기 쉽게 설명드릴게요. ⚾ 체크 스윙이란?**체크 스윙(Check Swing)**은 타자가 공을 치려고 배트를 휘두르다 말고,중간에 멈춘 스윙 동작을 말합니다.문제는, 이게 스트라이크로 볼 것인가, 아니면 볼로 인정할 것인가 하는 판정의 문제입니다.포인트: 완전히 휘두르지 않았지만 “스윙으로 간주될 만큼의 움직임”이 있었느냐가 관건!✅ 체크 스..

인필드 플라이란? 왜 타구를 일부러 떨어뜨려도 타자가 아웃일까?

야구 중계를 보다가 내야에 높이 뜬 공이 떨어지는데,심판이 “인필드 플라이!”라고 외치고 타자는 아웃이 되는 장면, 본 적 있으신가요?“어? 수비수가 공을 안 잡았는데 왜 아웃이야?”바로 이런 상황에서 적용되는 규칙이 **“인필드 플라이(infield fly)”**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인필드 플라이의 정의, 조건, 실제 상황에서의 적용 예시까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인필드 플라이란?**인필드 플라이(Infield Fly)**란,무사 또는 1사에 주자 1·2루 혹은 만루 상황에서,타자가 친 내야 뜬공이 수비수가 쉽게 잡을 수 있는 타구일 경우,심판이 이를 미리 선언하고 타자를 자동 아웃시키는 규칙입니다.핵심 목적: 수비수가 일부러 공을 떨어뜨려 병살을 유도하는 ‘부정 플레이’를..

보크란? 투수가 멈추면 주자는 왜 나가?

야구를 보다 보면 갑자기 심판이 “보크!”를 외치고,주자들이 아무 타격도 없이 베이스를 하나씩 진루하는 장면이 있습니다.“어? 무슨 실수 한 것도 없는데 왜 2루로 가지?”바로 이럴 때 적용되는 규칙이 **‘보크(Balk)’**입니다.보크는 야구에서 가장 복잡하지만, 가장 중요한 주자 보호 규칙 중 하나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보크의 정의, 발생 조건, 실제 예시까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보크(Balk)란?**보크(Balk)**는 투수가 투구나 견제 동작 중 불규칙하거나 부정한 행위를 하여 주자를 속이거나 불공정한 이득을 취하려 했을 때 적용되는 반칙입니다.쉽게 말해, “투수가 공을 던질 듯 말 듯 하거나, 정해진 규칙대로 움직이지 않으면 보크!”보크가 선언되면 모든 베이스에 있는 주자들이 한 루씩 진루합..

수비 방해란? 주루 플레이 도중에 이게 왜 아웃이야?

야구를 보다 보면, 타자가 타구를 치고 전력질주로 1루를 향해 달려가다가 갑자기 “아웃!” 판정이 나는 상황을 본 적 있으신가요?볼을 잡지도 않았고, 송구도 살짝 어긋난 것 같은데 왜 아웃일까요?이때 적용되는 규칙이 바로 **‘수비 방해(Interference)’**입니다.수비 방해는 단순한 주루 동작을 넘어, 경기 흐름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룰입니다.이 글에서는 수비 방해의 정의부터 판정 기준, 실전 적용 사례까지 입문자의 눈높이에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수비 방해란?**수비 방해(Interference)**는 **공격 팀(타자 또는 주자)**이 수비수가 공을 처리하거나 송구하려는 정당한 행동을 방해했을 때 선언되는 반칙입니다.쉽게 말해, 수비수가 플레이 중일 때 공격 측이 고의적이든 아니든 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