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수가 투구를 하려다가 멈칫.
주자도 없는데 심판이 뭔가 외치며 경기를 멈춘다?
어떤 땐 아웃 카운트가 변하지 않는데 주자가 진루한다?
“어? 투수가 던졌는데 왜 반칙이야?”
이런 상황은 대부분 투수의 세트 자세(Set Position)에서 발생한 규칙 위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트 자세의 정의, 투구 제한 조건, 그리고 자주 헷갈리는 보크와의 구분까지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투수 동작 관련 규칙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세트 자세(Set Position)란?
투수가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투구 준비 자세입니다.
보통 다음 2단계로 구성됩니다:
- 컴 세트(Come Set): 투수가 가슴 앞에서 두 손을 모은 상태로 완전히 정지
- 딜리버리(Delivery): 정지 상태 이후 투구를 시작하는 동작
⚠️ 이 “정지”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으면 위반 또는 보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세트 자세의 핵심 규칙
- 완전한 정지: 세트 자세에서는 최소 1초 이상 움직임 없이 멈춰야 함
- 투수판(피칭 플레이트) 위에서만 세트 가능
- 정지 없이 바로 던지면 보크
- 정지 후 투구 외의 동작 시도 → 반칙 (예: 고개 돌려 견제 흉내)
✅ 투수가 던지면 안 되는 순간
세트 동작 중 정지 없이 바로 투구 | 보크 | 주자 있을 경우 1루씩 진루 |
세트 중 타자 준비 전 투구 | 심판 타임 또는 투구 무효 | 공정한 플레이 아님 |
세트 후 투구 안 하고 견제 동작 흉내 | 보크 가능 | 타자·주자 혼란 유발 시 |
세트 후 타자 빠졌는데 바로 투구 | 반칙 투구 | 타자 미준비 상태는 위험요소 |
✅ 보크와의 관계
**보크(Balk)**는 세트 자세에서 자주 발생하는 규칙 위반 중 하나입니다.
보크가 되는 세트 동작의 예:
- 정지 없이 투구
- 타자 바라보다 말고 투구
- 견제 흉내만 내고 투구 안 함
- 공 없이 세트 자세에서 투구 흉내
- 세트 도중 포수 아닌 쪽으로 투구
주자 있을 때만 보크가 적용되며, 주자 전원 한 루씩 진루합니다.
✅ 주자 없을 땐?
주자 없을 땐 보크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아래와 같은 경우 심판의 경고 또는 타임, 무효 투구 선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세트 도중 움직이다 투구 중단 → 주의
- 타자 준비 안 됐는데 투구 → 타임 선언, 투구 무효
✅ 실전 예시
예시 ①
투수 세트 자세 후 투구 없이 움직임 반복
→ 주자 있을 경우 보크, 주자 진루
예시 ②
투수가 세트 없이 바로 투구
→ 주자 있으면 보크, 없으면 주의
예시 ③
투수가 세트 도중 타자 준비 전 투구
→ 투구 무효, 필요시 주의 또는 위반 선언
✅ 자주 나오는 오해
세트는 무조건 2초 멈춰야 함 | ❌ 1초 이상 정지면 충분 |
세트 후 고개 돌리면 보크 | ❌ 동작의 흐름과 속임수 여부에 따라 다름 |
주자 없으면 아무렇게나 던져도 됨 | ❌ 경기 흐름에 방해되면 반칙 가능 |
투수판 위 아니어도 세트 가능 | ❌ 반드시 피칭 플레이트 위에서만 세트 가능 |
✅ 왜 이런 규칙이 있을까?
- 주자 견제와 공정한 투구 시점 확보
- 타자·주자의 반응 시간을 보호
- 심판이 투구 타이밍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보조
✅ 한 줄 요약
“세트 자세는 단순한 준비가 아니라, 정지와 공정성의 약속이다. 흐름 속 정지를 지켜야 합법이다.”
✅ 다음 편 예고
“야구 교과서 시리즈⑪ – 수비수가 공 없이 베이스 밟고 있으면 아웃일까?”
주자보다 먼저 도착했는데 공이 없다?
태그 플레이와 포스 아웃의 차이, 베이스 밟기만으로 되는 아웃의 조건을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
'야구 규칙 및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구가 주자에게 맞으면 어떻게 돼? 주자 방해의 모든 것 (0) | 2025.05.20 |
---|---|
수비수가 공 없이 베이스를 밟고 있으면 주자는 아웃일까? (2) | 2025.05.20 |
ABS가 뭐야? 스트라이크를 로봇이 판단한다고? (0) | 2025.05.20 |
손에 맞은 공은 데드볼일까? 배트일까? 헷갈리는 핸드 히트 상황 정리 (2) | 2025.05.20 |
체크 스윙이란? 반쯤 휘두른 배트도 스트라이크일까? (4)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