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규칙 및 지식

타구가 주자에게 맞으면 어떻게 돼? 주자 방해의 모든 것

Training coach choi 2025. 5. 20. 22:00
반응형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가끔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
내야 땅볼 타구가 주자의 몸에 맞는 순간, 경기 중단!
심판이 손을 들어 무언가를 선언하죠.

“타구에 맞았는데 왜 아웃이지?”
“어떤 땐 아웃, 어떤 땐 그냥 데드볼처럼 되던데?”

이번 편에서는 입문자들이 헷갈리기 쉬운
“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의 판정 기준을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타자가 친 타구에 주자가 주루 도중에 맞는 모습을 나타낸 일러스트입니다."


⚾ 기본 개념: 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

타자가 친 타구가 수비수를 거치지 않고 주자의 몸이나 발에 맞았다면,
보통은 **‘주자 방해(Interference)’**로 간주되어 주자는 아웃입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이 그렇지는 않아요.
조건과 위치에 따라 세이프 처리되거나 데드볼로만 간주되기도 합니다.


✅ 판정의 핵심 기준

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 아래 3가지가 핵심입니다:

  1. 공이 수비수를 거쳤는가?
  2. 주자의 위치가 수비 범위 안이었는가?
  3. 수비가 공을 처리할 기회가 있었는가?

✅ 주자가 아웃되는 경우 (주자 방해)

아래 조건을 만족하면 주자는 아웃됩니다:

  • 수비수가 처리하지 않은 타구
  • 주자의 몸에 맞았고
  • 수비수의 플레이 기회를 방해했다고 판단되면
    주자 아웃, 타자는 1루에 세이프

예시

  • 1루 주자가 2루로 향하던 중, 유격수 쪽 땅볼이 주자의 다리에 맞음
    → 유격수의 수비를 방해한 것으로 간주 → 주자 아웃

✅ 주자가 아웃되지 않는 경우

① 이미 수비수를 지난 타구

  • 타구가 내야수 옆을 지나가 주자에게 맞은 경우
    수비 기회 없음 → 세이프, 인플레이

② 주자가 베이스 위에서 맞은 경우

  • 베이스 위에 발을 딛고 있을 때 타구에 맞았다면 대부분 세이프
  • 단, 고의로 맞은 경우는 예외

③ 외야에서 맞은 경우

  • 타구가 외야까지 갔다가 주자에게 맞은 경우
    → 플레이 계속, 대부분 인플레이 처리

✅ 데드볼과는 다른 개념!

**데드볼(Hit by pitch)**은 투수가 던진 공에 맞는 경우고,
**주자 방해(Interference)**는 타구에 맞거나, 수비 동작을 방해했을 때입니다.

타구에 맞은 상황은 데드볼이 아니라 대부분 인플레이 혹은 아웃 판정으로 이어집니다.


✅ 타자와 다른 주자들의 처리

  • 타자가 친 타구로 주자가 방해 아웃되면
    타자는 1루에 세이프, 나머지 주자들은 원래 베이스로 복귀

✅ 자주 나오는 오해

오해실제
타구에 맞았으면 무조건 데드볼 ❌ 수비 여부 따라 방해 또는 인플레이
베이스 위면 무조건 세이프 ❌ 고의로 맞으면 아웃 가능
맞은 주자 외 다른 주자도 모두 아웃 ❌ 해당 주자만 아웃, 나머진 복귀 또는 진루
타자도 같이 아웃된다 ❌ 타자는 기본적으로 1루 세이프 처리
 

✅ 실전 사례

사례 ①

주자가 2루로 가는 중, 2루수 앞으로 굴러가던 타구에 맞음
→ 수비 방해 → 주자 아웃, 타자 1루 세이프

사례 ②

주자가 3루에 있는데, 외야 쪽으로 굴러가던 타구가 발에 맞음
→ 수비 기회 없음 → 인플레이

사례 ③

1루 주자가 베이스 위에서 타구에 맞음
의도적 아님 + 베이스 위 → 세이프


✅ 한 줄 요약

“타구에 맞았다고 무조건 아웃은 아니다. 수비 기회가 있었는지가 핵심이다!”


✅ 다음 편 예고

“야구 교과서 시리즈⑬ – 스퀴즈 플레이란? 주자가 뛰고 번트를 댄다고?”
1점이 절실할 때 등장하는 고도의 전술!
**스퀴즈 번트(Squeeze Play)**의 구조, 성공 조건, 실패 시 리스크까지 전술적으로 분석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