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규칙 및 지식

📈 출루율·장타율·OPS는 무슨 뜻일까? - 타자의 진짜 능력을 보여주는 야구 통계 완전 해설

Training coach choi 2025. 6. 2. 06:00
반응형

"출루율, 장타율, OPS 이것들이 다 무슨 이야기일까요? 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시죠."

 

야구에서 타자를 평가할 때 가장 흔히 보는 수치는 타율입니다.
하지만 요즘은 이렇게 말하죠.

💬 “타율은 의미 없다, OPS를 봐야 진짜지!”

🤔 OPS? SLG? OBP?
야구 초보자에겐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 이 세 가지 지표는 타자의 출루 능력 + 장타력을 제대로 보여주는 핵심 데이터입니다.


🟢 출루율(OBP) – 얼마나 1루에 나갔는가?

**출루율(OBP, On-base Percentage)**은
타자가 아웃되지 않고 출루에 성공한 비율입니다.

📌 포함되는 출루 방식:
✅ 안타, 볼넷, 몸에 맞는 공
❌ 실책, 수비 선택은 제외


🧮 계산법

OBP = (안타 + 볼넷 + 사구) ÷ (타수 + 볼넷 + 사구 + 희생플라이)


🎯 예시

  • 안타 80개, 볼넷 30개, 사구 10개
  • 타수 300, 희생플라이 5회
    → OBP = (80+30+10) ÷ (300+30+10+5) = 0.367

🧠 출루율이 0.400 이상이면 리그 정상급 타자로 인정받습니다!


🔵 장타율(SLG) – 얼마나 멀리 쳤는가?

**장타율(SLG, Slugging Percentage)**은
타자가 총 몇 루타를 기록했는지를 평균화한 수치입니다.

🧮 계산법:

SLG = (1루타 + 2×2루타 + 3×3루타 + 4×홈런) ÷ 타수

"3루타를 치고 좋아하는 선수의 모습입니다. 더 큰 루타를 칠 수록 장타율은 올라갑니다."


🎯 예시

  • 1루타: 50개, 2루타: 20개, 3루타: 5개, 홈런: 10개
  • 타수: 300
    → 총루타 = 50 + (2×20) + (3×5) + (4×10) = 50 + 40 + 15 + 40 = 145
    → SLG = 145 ÷ 300 = 0.483

💣 장타율이 높을수록 장타 능력이 뛰어난 타자입니다.


🟣 OPS – 공격력 종합지수

OPS = OBP + SLG

출루율과 장타율을 단순히 더한 수치지만,
출루 능력 + 장타력을 함께 보는 가장 간편한 공격력 지표로 널리 사용됩니다.


🎯 OPS 기준표

OPS타자 수준
1.000 이상 MVP급 엘리트
0.900~0.999 올스타급
0.800~0.899 주전 타자
0.700~0.799 평균 수준
0.600 이하 하위권 or 수비형 타자
 

🧠 OPS는 단순하면서도 타자의 종합 능력을 가늠하기에 가장 직관적입니다.


🧠 비교 정리 카드

지표의미계산법해석 포인트
OBP 출루 능력 (H+BB+HBP) ÷ (AB+BB+HBP+SF) 루상 점유 능력
SLG 장타력 총루타 ÷ 타수 장타 비중
OPS 종합 공격력 OBP + SLG 공격 기여도 전체 평가
 

🎯 실전 활용 예시


🧢 타자 A

  • 타율 0.280, OBP 0.390, SLG 0.560 → OPS 0.950
    → 타율은 평범해도 출루와 장타력 모두 우수

🧢 타자 B

  • 타율 0.310, OBP 0.330, SLG 0.400 → OPS 0.730
    타율은 높지만 장타·출루 모두 약함

❗ 자주 나오는 오해

❌ 오해✅ 실제
OPS는 안타 개수만 보면 된다 ❌ 볼넷·홈런 포함 지표
SLG는 타율과 같다 ❌ SLG는 타격 거리 반영
OPS는 너무 단순해서 의미 없다 ❌ 가장 직관적인 종합 지표
타율이 높으면 무조건 OPS도 높다 ❌ 볼넷, 장타가 없으면 OPS 낮을 수 있음
 

✅ 요약

  • OBP = 얼마나 자주 나가냐?
  • SLG = 얼마나 멀리 치냐?
  • OPS = 이 둘을 더한 공격력 종합 평가

📢 한 줄 요약:
“OPS는 출루와 장타의 합! 진짜 좋은 타자는 나가기도 잘하고 멀리도 친다.”


🔜 다음 편 예고

🧤 “병살타와 병살처리는 뭐가 다를까? 수비 기록의 비밀”

병살타는 타자 기록, 병살처리는 수비 기록?
🧱 수비수의 병살 기여도, 기록 처리 방식, 병살 유도 상황을 다음 편에서 자세히 알아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