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타자가 아웃됐는데도 관중이 박수를 쳐?”
“안타도 아닌데 타점이 생긴다고?”
야구에서는 개인의 기록보다 팀의 점수가 중요한 경우,
⚾ 타자가 자신을 희생해 주자의 진루나 득점을 돕는 전술을 구사합니다.
바로 **희생번트(SAC)**와 **희생플라이(SF)**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이 두 가지 희생타의 차이와 기록 규칙,
그리고 언제 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설명해드립니다.
🔸 희생번트(Sacrifice Bunt)
희생번트는 타자가 고의로 번트를 대 주자를 진루시키는 작전입니다.
이 과정에서 타자는 1루에서 아웃되지만,
주자는 2루 또는 3루로 진루합니다.
📍 주로 사용하는 상황:
- 무사 또는 1사에 주자가 1루 or 2루
- 타자가 강타자가 아닐 경우
- 경기 초반 점수 압박이 낮을 때
✅ 기록 조건
- 타자가 의도적으로 번트를 댄 후 아웃
- 주자가 1개 이상 베이스를 진루해야
→ SAC (희생번트)로 인정
⚠️ 단, 주자가 진루하지 못하면 → 희생번트 아님 (타자에 아웃 기록됨)
🟡 희생플라이(Sacrifice Fly)
희생플라이는 타자가 외야 플라이를 쳐서
주자가 득점하거나 진루하는 전술입니다.
타자는 플라이 아웃되지만, 타점이 부여됩니다.
📍 주로 사용하는 상황:
- 주자 3루에 있을 때
- 외야 수비가 깊게 위치해 있을 때
- 점수가 필요한 중후반 상황
✅ 기록 조건
- 타자가 플라이볼 타구
- 타구 잡힌 후 주자 득점 성공
→ SF (희생플라이)로 기록
💡 타자가 아웃되더라도 타점(RBI) 1개 기록됨!
📊 비교 정리 카드
영문 | SAC | SF |
방식 | 번트 타구 | 외야 플라이 |
목적 | 주자 진루 | 주자 득점 |
기록 인정 조건 | 번트 + 주자 진루 | 플라이 + 주자 득점 |
타율 반영 여부 | ❌ 제외 | ❌ 제외 |
타점 여부 | ❌ 없음 | ✅ 타점 1 인정 |
보통 사용 타자 | 하위 타선, 전략형 | 중상위 타선, 타점형 |
🧠 실전 예시로 이해하기
🎯 예시 ①
무사 1루, 타자 번트 → 주자 2루 진루 → 타자 아웃
→ SAC (희생번트) 기록
🎯 예시 ②
1사 3루, 타자 외야 플라이 → 주자 태그업 득점
→ SF + 타점 1점 기록
🎯 예시 ③
무사 1루, 번트 시도 → 주자 2루 못 가고 타자 아웃
→ ❌ 희생번트 아님 → 단순한 아웃
📉 희생타는 타율에 포함될까?
✅ 타율 계산 시 제외됩니다!
📌 예:
- 3타수 1안타 + 1희생플라이 → 타율은 1/3이 아닌 1/2로 계산
→ 희생타는 타자의 기여를 인정하기 위한 예외 조항
💡 단, 출루율 계산에는 희생플라이만 포함
→ SAC는 출루율에도 제외됨
❗ 자주 나오는 오해
번트는 다 희생번트다 | ❌ 주자 진루 없으면 희생 인정 안 됨 |
플라이 치면 무조건 희생플라이 | ❌ 주자 득점해야 인정 |
희생플라이에도 타율 낮아진다 | ❌ 타율 계산에 제외 |
희생번트도 타점 인정된다 | ❌ 타점 없음 |
✅ 요약
- 희생타는 팀 득점을 위한 전술적 희생
- 희생번트 = 진루용 / 희생플라이 = 득점용
- 타율에는 영향 없음, 희생플라이만 타점 인정
📢 한 줄 요약:
“희생타는 기록에는 아웃이지만, 팀에게는 가장 귀한 점수를 만들어낸다!”
🔜 다음 편 예고
🏃♂️ “홈에 먼저 들어왔는데 점수가 무효라고? 주자 선행·후행에 따른 점수 인정 조건”
⚾ 주자가 홈을 밟았지만 득점이 무효?
수비가 더블플레이를 완성한 타이밍에 따라
득점 인정 여부가 갈리는 야구의 복잡한 득점 규칙,
📌 헷갈리기 쉬운 선행주자·후속주자 관련 점수 인정 조건을 정리해드립니다!
'야구 규칙 및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자가 베이스에서 떨어졌을 때 태그하면 항상 아웃일까? - 어필 플레이와 심판의 판정 기준 (2) | 2025.06.07 |
---|---|
🏃♂️ 홈에 먼저 들어왔는데 점수가 무효라고? - 포스 아웃과 태그 아웃에 따른 점수 인정 조건 (6) | 2025.06.05 |
🧱 병살타와 병살처리는 뭐가 다를까? - 수비 기록의 진짜 의미를 이해하자! (2) | 2025.06.03 |
📈 출루율·장타율·OPS는 무슨 뜻일까? - 타자의 진짜 능력을 보여주는 야구 통계 완전 해설 (0) | 2025.06.02 |
🧮 실책과 자책점은 어떻게 다를까? - ERA 계산과 수비 책임 구분법 총정리 (4) | 202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