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규칙 및 지식

🧱 병살타와 병살처리는 뭐가 다를까? - 수비 기록의 진짜 의미를 이해하자!

Training coach choi 2025. 6. 3. 12:00
반응형

"병살타와 병살 처리,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야구 중계에서 종종 들리는 말,

🎙️ “오늘 2개의 병살타를 유도한 선발 투수”
🎙️ “2루수가 병살처리 하나 해냈습니다!”

🤔 그런데 병살타? 병살처리?
둘 다 더블플레이라고 들었는데, 도대체 무슨 차이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병살(Ground into Double Play)**에 대해
타자 기록수비 기록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정리해드립니다.


 

💥 병살(Ground into Double Play)이란?

📌 병살은 한 타구로 두 명의 주자가 동시에 아웃되는 수비 플레이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 병살 공식:
1사 이하 + 주자 1루 상황 → 내야 땅볼 → 2루 → 1루 → 2OUT

💡 이때 타자는 병살타(GIDP),
수비수는 병살처리(DP) 기록을 받습니다.


🟡 병살타(GIDP) = 타자에게 기록되는 항목

GIDP (Grounded Into Double Play)
: 타자가 친 타구로 인해 두 명이 아웃되었을 때,
그 타자에게 부여되는 기록입니다.

📌 타자 입장에서 보면, 최악의 결과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출루 실패 + 주자 아웃 유도


🎯 예시

  • 1사 1루, 타자 땅볼 → 유격수 → 2루 → 1루 병살
    타자에게 GIDP 1회 기록
  • 0사 만루, 3루주자 홈 득점 / 1루·2루 병살
    → 타점 인정되더라도 GIDP 기록됨

🔵 병살처리(DP) = 수비수에게 기록되는 항목

수비수는 병살 플레이에 기여할 경우
DP(Double Play Participation) 항목이 기록됩니다.

📌 수비수당 기록 조건:

  • 직접 아웃시킨 수비수는 아웃(PO) 기록
  • 송구 연결한 선수는 어시스트(A)
  • 병살에 직접 관여한 모든 수비수는 DP로 기록됨

🎯 예시

  • 유격수 → 2루수 → 1루수 병살
    → 유격수: DP + A
    → 2루수: DP + PO
    → 1루수: DP + PO

📊 병살 기록 비교 요약 카드

항목병살타(GIDP)병살처리(DP)
기록 대상 타자 수비수
목적 공격 평가 수비 기여도
의미 아웃 2명 유발 병살 플레이 관여
통계 적용 GIDP 개수 DP 횟수
흔한 사례 1루 주자 있는 땅볼 6-4-3, 4-6-3 등 병살
 

🧠 자주 발생하는 병살 유형

유형설명
6-4-3 유격수 → 2루수 → 1루수
4-6-3 2루수 → 유격수 → 1루수
5-4-3 3루수 → 2루수 → 1루수
1-2-3 투수 → 포수 → 1루수 (홈 → 1루 병살)
L1 (라인드라이브 병살) 타구 잡은 후 1루 주자 리드 → 태그
"병살을 만들어내는 수비들의 모습입니다."
 

❗ GIDP가 기록되지 않는 상황

✅ 병살이 발생했더라도 타자에게 GIDP가 기록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타자가 번트를 시도했을 경우
  • 타자가 병살로 아웃되지 않고 살아남은 경우 (예: 타자 세이프, 주자 2OUT)
  • 수비 실책으로 인해 병살 성립 안 됨
  • 희생플라이/희생번트 상황

 

🎯 실전 비교 예시


🧢 타자 A

  • 1사 1루 → 유격수 땅볼 → 6-4-3 병살
    → GIDP + 아웃 기록

🧢 타자 B

  • 1사 1루 → 타자 1루 세이프, 1루 주자·3루 주자 OUT
    병살 처리되었으나 GIDP는 기록되지 않음

✅ 요약

  • 병살은 공격과 수비 모두에 기록되는 플레이
  • 타자: GIDP → 공격 실패 평가
  • 수비수: DP → 수비 기여 인정
  • 병살 기록은 팀의 수비력, 타자의 플레이 효율성 모두 평가 기준

📢 한 줄 요약:
“병살은 두 명을 잡지만, 타자에게는 치명타! 기록은 공격과 수비 모두에게 남는다.”


🔜 다음 편 예고

📐 “희생번트와 희생플라이의 차이는? 타율은 줄지만 팀 승리에 기여한다!”

타자가 아웃되는데도 박수 받는 이유?
희생타의 종류, 기록 조건, 타율 반영 여부를 다음 편에서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