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구 규칙 및 지식 42

🧤 주자가 베이스에서 떨어졌을 때 태그하면 항상 아웃일까? - 어필 플레이와 심판의 판정 기준

경기 도중 이런 장면 본 적 있으신가요?🎙️ “2루수가 공을 들고 베이스를 밟으며 심판에게 어필합니다!”📢 심판이 ‘아웃’을 선언합니다!🤔 “주자를 태그하지도 않았는데 왜 아웃이지?”→ 이럴 때 적용되는 것이 바로 **어필 플레이(Appeal Play)**입니다.이번 글에서는어필 플레이의 정의언제 사용 가능한지어필 성공/실패 기준실전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례를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게요!📌 어필 플레이란?⚾ **어필 플레이(Appeal Play)**란:수비수가 심판에게 규칙 위반(베이스 미터치, 태그업 실패 등)을 어필하여,심판이 이를 근거로 아웃을 선언하는 플레이입니다.직접 태그하지 않아도베이스를 밟으면서또는 주자에게 어필 태그를 하면서심판에게 위반 사실을 어필할 수 있습니다.🎯 어필 플레이가 필요..

🏃‍♂️ 홈에 먼저 들어왔는데 점수가 무효라고? - 포스 아웃과 태그 아웃에 따른 점수 인정 조건

야구에서 가장 혼란스러운 순간 중 하나!“주자가 홈을 밟았는데, 심판이 점수를 인정하지 않아요!”📢 “왜 득점이 무효가 되는 거죠?”⚾ 이럴 때 핵심은 바로 득점 시점과 마지막 아웃의 방식입니다.오늘은 이닝 종료 직전 발생한 득점이어떤 조건에서 인정되고, 어떤 경우 무효가 되는지를차근차근 정리해드립니다! 🧠 핵심 규칙 요약✔️ 주자가 홈을 밟았더라도,→ 수비가 이닝을 종료시키는 아웃을 먼저 만들면 점수는 무효!⚠️ 특히 마지막 아웃이 포스 아웃일 경우,그 이후 들어온 점수는 모두 무효입니다.📌 포스 아웃과 태그 아웃의 차이구분정의득점 인정 기준⚠️ 포스 아웃루를 밟아야 할 주자를 루에서 잡는 아웃❌ 득점 무효🤚 태그 아웃주자를 공으로 직접 터치해 아웃✅ 득점 인정 (조건부) 🎯 실전 예시로 이해..

🙌 희생번트와 희생플라이의 차이는? - 타율은 줄지만 팀 승리에 기여하는 공격 전술!

“어? 타자가 아웃됐는데도 관중이 박수를 쳐?”“안타도 아닌데 타점이 생긴다고?”야구에서는 개인의 기록보다 팀의 점수가 중요한 경우,⚾ 타자가 자신을 희생해 주자의 진루나 득점을 돕는 전술을 구사합니다.바로 **희생번트(SAC)**와 **희생플라이(SF)**입니다.이번 편에서는 이 두 가지 희생타의 차이와 기록 규칙,그리고 언제 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설명해드립니다.🔸 희생번트(Sacrifice Bunt)희생번트는 타자가 고의로 번트를 대 주자를 진루시키는 작전입니다.이 과정에서 타자는 1루에서 아웃되지만,주자는 2루 또는 3루로 진루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상황:무사 또는 1사에 주자가 1루 or 2루타자가 강타자가 아닐 경우경기 초반 점수 압박이 낮을 때✅ 기록 조건타자가 의도적으로 번트를 ..

🧱 병살타와 병살처리는 뭐가 다를까? - 수비 기록의 진짜 의미를 이해하자!

야구 중계에서 종종 들리는 말,🎙️ “오늘 2개의 병살타를 유도한 선발 투수”🎙️ “2루수가 병살처리 하나 해냈습니다!”🤔 그런데 병살타? 병살처리?둘 다 더블플레이라고 들었는데, 도대체 무슨 차이일까요?이번 글에서는 **병살(Ground into Double Play)**에 대해타자 기록과 수비 기록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정리해드립니다. 💥 병살(Ground into Double Play)이란?📌 병살은 한 타구로 두 명의 주자가 동시에 아웃되는 수비 플레이입니다.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병살 공식:1사 이하 + 주자 1루 상황 → 내야 땅볼 → 2루 → 1루 → 2OUT💡 이때 타자는 병살타(GIDP),수비수는 병살처리(DP) 기록을 받습니다.🟡 병살타(GIDP) = 타자에게 기록되는 항..

📈 출루율·장타율·OPS는 무슨 뜻일까? - 타자의 진짜 능력을 보여주는 야구 통계 완전 해설

야구에서 타자를 평가할 때 가장 흔히 보는 수치는 타율입니다.하지만 요즘은 이렇게 말하죠.💬 “타율은 의미 없다, OPS를 봐야 진짜지!”🤔 OPS? SLG? OBP?야구 초보자에겐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이 세 가지 지표는 타자의 출루 능력 + 장타력을 제대로 보여주는 핵심 데이터입니다.🟢 출루율(OBP) – 얼마나 1루에 나갔는가?**출루율(OBP, On-base Percentage)**은타자가 아웃되지 않고 출루에 성공한 비율입니다.📌 포함되는 출루 방식:✅ 안타, 볼넷, 몸에 맞는 공❌ 실책, 수비 선택은 제외🧮 계산법OBP = (안타 + 볼넷 + 사구) ÷ (타수 + 볼넷 + 사구 + 희생플라이)🎯 예시안타 80개, 볼넷 30개, 사구 10개타수 300, 희생플라이 5회→ O..

🧮 실책과 자책점은 어떻게 다를까? - ERA 계산과 수비 책임 구분법 총정리

⚾ “투수가 5실점했는데 자책점은 2점?”🤔 “실책은 수비 잘못이고, 자책점은 투수 잘못이라던데…”야구에서 **실점(실제로 허용한 점수)**과 **자책점(투수의 책임)**은 다른 개념입니다.이번 편에서는⚠️ 실책(Error)🔢 자책점(Earned Run)📉 ERA 계산법을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실책(Error)이란?수비수가 정상적인 수비 동작을 하지 못해,주자 또는 타자가 진루하거나 실점으로 이어진 경우 기록되는 수비 책임입니다.📍 예시 상황내야수가 공을 놓쳐 주자가 1루에 살아남음송구가 빗나가 주자가 추가 진루더블플레이 실패 (포구 실수, 송구 미스 등)🔢 자책점(Earned Run)이란?투수의 책임으로 기록되는 실점을 말합니다.수비의 실수 없이 정상적인 경기 흐름에서 발생한 실점만 포..

📊 투수의 승, 패, 홀드, 세이브는 어떻게 결정될까? - 성적표 속에 숨은 야구 기록의 비밀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종종 이런 자막이 뜹니다.“승리투수: 홍길동 (3승 1패 2세이브)”“홀드 8, 평균자책 2.35”😵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지?”⚾ 투수의 성적은 단순히 던진 이닝 수만으로는 설명되지 않습니다.오늘은 ‘승·패·홀드·세이브’가 어떻게 기록되고, 무엇을 의미하는지실전 예시와 함께 설명해드릴게요.🟢 승리투수(WIN)는 누구?🏆 **승리(WIN)**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선발 투수의 경우:최소 5이닝 이상 투구해당 이닝 동안 팀이 리드하고, 그 리드를 동점 혹은 역전을 내주지 않고 끝까지 지킨 경우✅ 구원 투수의 경우:팀이 리드를 잡은 순간 마운드에 있었던 투수이후 팀이 역전당하지 않으면 승리 기록 부여🎯 예시선발 투수가 6이닝 무실점 → 3회 팀이 2점 득점 → 6..

⛳ 투수는 언제 교체할 수 있을까? - 마운드 방문, 교체 타이밍, 그리고 3타자 룰까지!

❓ Q1. 투수 교체는 아무 때나 가능한가요?🧢 정답은 No!투수 교체는 정해진 규칙과 절차에 따라야 하며,특히 이닝 도중 교체는 몇 가지 조건을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 교체 기본 조건감독 또는 코치가 마운드에 올라가는 순간부터 교체 가능단, 마운드 방문 후에는 다음 타자에게 최소 1구를 던져야 하는 제약도 있음3타자 룰 적용 중이라면 타자 3명 상대 전까지 교체 불가 (2군 퓨쳐스 리그 적용 중)❓ Q2. 3타자 룰이 뭐예요?📕 3타자 룰(Minimum Three-Batter Rule)투수는 교체되기 전 최소 3명의 타자를 상대해야 하는 규칙입니다.✅ 적용 시점: MLB, KBO(2군) 등 대부분의 리그에서 도입됨, KBO 1군 리그는 아직이지만 곧 도입 예정✅ 도입 목적: 전략적 교체 남용 ..

🛡️ 안전진루권이 뭐야? - 주자가 공 없이도 루를 얻는 이유와 모든 상황 정리

야구를 보다 보면, 공이 멀리 굴러가거나 심판이 팔을 들며“⚠️ 주자 진루!”를 선언하는 장면을 본 적 있으실 거예요.“어? 공이 멈췄는데 왜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가지?”“수비가 막지도 않았는데 자동으로 진루하는 건 뭐야?”이럴 때 적용되는 규칙이 바로 **안전진루권(Safe Advancement Rule)**입니다.오늘은 이 규칙이 무엇인지, 언제 적용되는지,그리고 실전에서 어떤 사례들이 있는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안전진루권(Safe Advancement)이란?✅ 수비의 실수나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자가 별다른 접촉 없이도 자동으로 다음 루로 진루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칙입니다.📝 영어로는 "Base Award" 또는 "Automatic Advancement"라고 하며,KBO 및..

🔥 2스트라이크 후 파울 번트는 왜 아웃일까? ⚾ 번트의 룰과 전략, 그리고 실전에서의 의미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이런 장면이 종종 등장하죠.타자가 번트를 시도했는데 공이 파울로 굴러갔고,🙅 심판이 갑자기 “삼진 아웃!”을 선언합니다.😮 “파울인데 왜 아웃이지?”😵 “방금 2스트라이크 아니었어?”바로 이때 적용되는 규칙이🧠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 파울은 삼진 아웃” 규정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규칙이 왜 존재하는지, 어떤 전략적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번트(Bunt)란?🟡 번트(Bunt) = 타자가 배트를 휘두르지 않고살짝 들이대듯이 공을 맞춰 굴리는 기술입니다.🎯 주요 목적:희생번트로 주자 진루기습번트로 내야 허 찔러 출루스퀴즈 번트로 3루 주자 득점 유도🚨 왜 2스트라이크 이후 번트 파울은 아웃일까?일반 타격은 파울을 쳐도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2개 이상일 경우 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