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구 규칙 및 지식 42

파울팁도 스트라이크라고? 스윙 같지만 공은 뒤로 간 상황의 모든 것

“타자가 스윙했는데 공이 살짝 맞고 뒤로 갔어. 근데 삼진이라고?”“포수 미트에 맞고 떨어졌는데도 스트라이크 판정이야?”야구 경기 중 흔히 일어나는 파울팁(Foul Tip) 상황은,스트라이크와 파울, 혹은 낫아웃과 삼진을 구분하는 데 있어아주 중요한 규칙 중 하나입니다.이번 편에서는 파울팁에 대한 개념, 스트라이크와의 관계,그리고 실전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해들을 정리해드립니다.⚾ 파울팁(Foul Tip)이란?**파울팁(Foul Tip)**은 타자가 스윙한 공이살짝 배트에 닿아 뒤로 가고,그 공을 포수가 공중에서 바로 잡은 경우를 말합니다.✅ 파울팁은 파울볼이 아니라, 스트라이크로 간주됩니다.✅ 삼진 카운트에서도 유효하며, 공이 떨어지지 않아 낫아웃도 해당 안 됨!✅ 파울팁 vs 파울볼 – 뭐가 달라?구분..

병살타를 쳤는데 점수는 났다고? 점수 인정의 조건

야구 경기를 보다 보면 이런 장면이 나올 때가 있습니다.“병살타로 이닝이 끝났는데, 스코어보드에는 점수가 올라가 있어요.”혹은 반대로, 홈을 밟은 주자가 있었는데 득점이 인정되지 않고 이닝 종료가 됩니다.그럼 질문!병살타가 나왔을 때, 주자의 득점은 인정될까요?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야구의 득점 인정 조건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기본 개념 – 점수는 언제 인정되나요?야구에서 득점은 주자가 홈 플레이트를 밟는 순간이 전부가 아닙니다.득점이 인정되려면, 공이 데드 상태가 되기 전에 주자가 합법적으로 홈을 밟아야 합니다.여기서 중요한 조건이 하나 더 있죠:“수비가 세 번째 아웃을 만들기 전에 주자가 홈을 밟았다면 득점 인정.단, 그 세 번째 아웃이 포스 아웃이 아닐 경우에만!”⚾ 병살타와 득점, 무..

포수는 언제 타자를 방해하는 걸까? 캐처 인터페어런스 정리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간혹 심판이 **“타자에게 1루가 주어졌습니다”**라고 선언하는 장면이 나옵니다.하지만 타자가 공을 맞은 것도 아니고, 스트라이크존을 빠져나간 것도 아니죠.이때 적용되는 규칙이 바로 “포수 방해(Catcher’s Interference)”, 즉 캐처 인터페어런스입니다.이번 편에서는 포수 방해가 무엇인지, 어떨 때 선언되는지,그리고 어떤 판정과 기록 처리로 이어지는지 알기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캐처 인터페어런스란?**캐처 인터페어런스(Catcher’s Interference)**는타자가 스윙 또는 타격 동작을 취하는 중, 포수가 방해했을 경우 선언되는 반칙입니다.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포수가 너무 앞으로 나와 있다가 타자의 배트에 포수 미트가 맞는 경우타자의..

타자가 타석을 벗어나면 어떻게 돼? 규칙 위반과 인정되지 않는 플레이들

야구 경기 중 타자가 타석에서 벗어나 있는데 투수가 공을 던졌습니다.또는 타자가 타격 후, 타석을 아예 벗어나 공을 맞췄습니다.심판은 경기를 멈추고 “반칙 타격”을 선언합니다.“어? 왜 방망이로 쳤는데 아웃이 아니지?”“타자가 공을 쳤는데 인정이 안 된다고?”이번 편에서는 타석을 벗어난 타자의 동작이 어떤 상황에서 반칙이 되는지,그리고 인정되지 않는 타격 행위에 대한 규칙을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타석이란?**타석(Batter’s Box)**은 타자가 투수의 공을 기다리고, 타격을 하는 정해진 공간입니다.두 개의 직사각형 박스(좌·우 타석)가 홈 플레이트 양옆에 위치하며,타자는 자신의 타석 안에서만 합법적인 타격을 할 수 있습니다.💡 타석의 경계선은 포함입니다. 선 위에 발이 닿는 건 괜찮지만..

스퀴즈 플레이란? 주자가 뛰고 번트를 댄다고?

9회말 1사 3루, 동점 상황.타자가 갑자기 번트를 대자마자 주자가 홈으로 돌진합니다!수비수들은 당황하고, 관중석은 함성으로 뒤덮이죠.이때 사용된 전술이 바로 **스퀴즈 번트(Squeeze Play)**입니다.오늘은 이 고난이도 작전의 원리와 성공 조건, 실패 시 리스크까지입문자 눈높이에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스퀴즈 번트란?**스퀴즈 번트(Squeeze Bunt)**는 3루 주자가 홈으로 뛰는 동시에,타자가 번트를 대서 점수를 내는 공격 전술입니다.목표는 단 하나: 주자를 홈에 불러들이는 것!번트는 잘 대야 하고, 주자는 타이밍을 정확히 잡아야 하며,수비진이 허를 찔릴 타이밍에 사용해야 성공률이 높습니다.✅ 스퀴즈 플레이의 종류① 세이프티 스퀴즈 (Safety Squeeze)주자가 타자의 번트를 확인..

타구가 주자에게 맞으면 어떻게 돼? 주자 방해의 모든 것

야구 중계를 보다 보면 가끔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내야 땅볼 타구가 주자의 몸에 맞는 순간, 경기 중단!심판이 손을 들어 무언가를 선언하죠.“타구에 맞았는데 왜 아웃이지?”“어떤 땐 아웃, 어떤 땐 그냥 데드볼처럼 되던데?”이번 편에서는 입문자들이 헷갈리기 쉬운“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의 판정 기준을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기본 개념: 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타자가 친 타구가 수비수를 거치지 않고 주자의 몸이나 발에 맞았다면,보통은 **‘주자 방해(Interference)’**로 간주되어 주자는 아웃입니다.하지만 모든 상황이 그렇지는 않아요.조건과 위치에 따라 세이프 처리되거나 데드볼로만 간주되기도 합니다.✅ 판정의 핵심 기준타구가 주자에게 맞았을 때, 아래 3가지가 핵심입니다:공이 수비수를 거..

수비수가 공 없이 베이스를 밟고 있으면 주자는 아웃일까?

야구를 보다 보면, 주자가 전력질주로 1루를 향해 달리는데수비수가 먼저 베이스를 밟고 있는 장면.“어? 이미 밟았으니까 아웃 아냐?”그런데 심판은 **세이프!**를 선언합니다.수비수가 공 없이 베이스를 밟고 있는 경우, 주자는 아웃일까요?이번 편에서는 많은 입문자들이 헷갈려하는‘포스 아웃’과 ‘태그 아웃’의 차이를 중심으로,언제 베이스만 밟으면 되고, 언제는 꼭 태그해야 하는지실전 예시와 함께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아웃의 2가지 방식: 포스 아웃 vs 태그 아웃야구에서 주자를 아웃시키는 방식은 크게 2가지입니다:① 포스 아웃 (Force Out)주자가 다른 주자 때문에 반드시 다음 루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때 수비수가 공을 가지고 베이스를 먼저 밟으면 아웃② 태그 아웃 (Tag Out)주자가 포스 ..

투수가 세트 자세에서 던지면 안 되는 순간이 있다고?

투수가 투구를 하려다가 멈칫.주자도 없는데 심판이 뭔가 외치며 경기를 멈춘다?어떤 땐 아웃 카운트가 변하지 않는데 주자가 진루한다?“어? 투수가 던졌는데 왜 반칙이야?”이런 상황은 대부분 투수의 세트 자세(Set Position)에서 발생한 규칙 위반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세트 자세의 정의, 투구 제한 조건, 그리고 자주 헷갈리는 보크와의 구분까지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투수 동작 관련 규칙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세트 자세(Set Position)란?투수가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투구 준비 자세입니다.보통 다음 2단계로 구성됩니다:컴 세트(Come Set): 투수가 가슴 앞에서 두 손을 모은 상태로 완전히 정지딜리버리(Delivery): 정지 상태 이후 투구를 시작하는 동작⚠️ 이 “정지”가 제대..

ABS가 뭐야? 스트라이크를 로봇이 판단한다고?

야구를 보다 보면 이런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저건 로봇 심판이면 스트라이크였어!”“MLB는 이제 ABS 쓴다며?”“사람 심판보다 기계가 더 정확한 거 아니야?”이처럼 점점 더 많은 리그와 팬들이 주목하고 있는 시스템이 바로ABS(Automatic Ball-Strike System), 즉 자동 볼·스트라이크 판정 시스템입니다.이번 편에서는 ABS란 무엇이고, 왜 등장했으며, 어떻게 작동하고, 실제 현장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ABS란 무엇인가?**ABS(Automatic Ball-Strike System)**는 말 그대로스트라이크 존에 들어왔는지를 사람 심판 대신 컴퓨터가 판단하는 시스템입니다.고속 카메라와 트래킹 센서 기술을 이용해,공이 투수의 손을 떠난 후 스트라이크 ..

손에 맞은 공은 데드볼일까? 배트일까? 헷갈리는 핸드 히트 상황 정리

야구를 보다 보면 타자가 스윙 도중 손에 공을 맞고 쓰러지는데,어떤 때는 데드볼이 선언되고, 어떤 때는 스트라이크 혹은 플레이 계속이 되는 것을 본 적 있죠?“도대체 손에 맞은 건가, 방망이에 맞은 건가?”손은 배트의 일부라는 말도 있는데 진짜일까?이번 편에서는 타격 중 손에 공이 맞는 상황, 이른바 핸드 히트(hand hit) 상황의 정확한 판정 기준과 실제 적용 예시를 통해야구 입문자들이 꼭 알아야 할 **‘손 맞은 공의 판정’**을 정리해드립니다.⚾ 기본 개념: 데드볼 vs. 배트 맞은 공타자가 타격 중 공에 맞는 상황에서 판정은 아래 둘 중 하나입니다:① 데드볼(Hit By Pitch, 사구)타자의 신체 일부에 공이 맞고, 타자는 1루 진루단, 스윙을 하지 않았고, 피하려는 의도 있었을 경우② 배..

반응형